Hurricane room stor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urricane room stor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168)
    • 임시보관함 (0)
    • 요리 (1)
    • 당뇨 (0)
    • 위암 (1)
    • 세계여행준비물 (0)
    • 사진포토샵 (0)
    • 사진 (1)
    • 자전거용품 (0)
    • gps (13)
    • 여행 (1)
    • 스크랩 (11)
    • 글과 생활 (6)
    • 신상품 (4)
    • photo gallery (0)
    • 일상스케치 (125)
    • travel (0)
    • 캠핑 (4)
    • 캠핑장비 (0)
    • mountain (0)
    • 산행과 비박 (205)
    • 등산장비및 용품 (159)
    • 등산제품구입과 사용기 (75)
    • life (2)
    • 명의 (6)
    • 법과 생활 (49)
    • 신상품2 (0)
    • MTB & motocycle (143)
    • GPS2 (57)
    • 바이크 정보 (7)
    • 자전거용품2 (0)
    • 장거리자전거 (1)
    • 기타 (1)
    • 주택 (0)
    • 노후 (1)
    • 건강관리 (54)
    • 즐겨듣는 팝음악동영상 (164)

검색 레이어

Hurricane room stor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강관리

  • 부정맥 치료, 하버드도 배워간다

    2023.12.09 by artyou

  • 혈압 잴 때 작은 커프 쓰면 정상도 고혈압으로 오진

    2023.12.07 by artyou

  •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 마스모토 미스마사

    2023.11.13 by artyou

  • 커피 끊고 3개월... 잠다운 잠을 자기 시작했다

    2023.10.01 by artyou

  • “여성 방광암 45% 담배 탓… 뇌졸중 30%는 술 때문”

    2023.09.19 by artyou

  • 당뇨 ‘이러면 낫는다’...혈당과 비만 두마리 토끼 모두 잡은 현대판 만병통치약의 등장

    2023.09.17 by artyou

  • 건강 위해 먹은 ‘이것’…부정맥 위험 높일 수도

    2023.06.27 by artyou

  • 한 달 2㎏ 설탕이 몸에서 빠진다?... 요즘 뜨는 당뇨 치료제

    2023.06.22 by artyou

부정맥 치료, 하버드도 배워간다

철심 하나로 부정맥 치료, 하버드도 배워간다 조선일보 유튜브 ‘명의의 전당’ 김영훈 고대안암병원 명예교수 안상현 기자 입력 2023.12.09. 03:00 5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이 주관해 매년 열리는 ‘보스턴 심방세동 심포지엄’은 대표적인 부정맥 질환인 심방세동 관련 국제학술대회 중 가장 규모가 크고 권위가 높다. 그런데 이 학회에 매년 초청받아 전 세계에서 모인 의사들을 대상으로 강연하는 한국인 의사가 있다. 김영훈(65)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명예교수가 주인공이다. 아시아 출신 의사 중 강연자로 매년 초청되는 이는 김 교수뿐이다. 8일 조선일보 의학 토크쇼 '명의의 전당'에 출연한 김영훈(오른쪽)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명예교수가 본지 의학전문기자 김철중 박사와 부정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

건강관리 2023. 12. 9. 08:51

혈압 잴 때 작은 커프 쓰면 정상도 고혈압으로 오진

이은봉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입력 2023.12.06. 20:30업데이트 2023.12.06. 23:44 1 혈압 측정 모습./뉴시스 고혈압으로 진단되면 대개 평생 약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혈압 측정이 필수적이다. 혈압은 대개 수축기 130(㎜Hg) 이완기는 85 이하인 경우 정상으로 간주한다. 혈압 측정 시 팔에 감는 커프(cuff)는 폭에 따라 소형(22㎝), 표준형(30㎝), 대형(36㎝), 특대형(42㎝) 사이즈가 있다. 최근 미국 의사 협회지 내과편에 커프 사이즈에 따라 혈압이 어떻게 다르게 측정되는지 조사한 연구가 발표됐다. 연구는 고혈압이 있는 평균 54세 미국인 195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을 무작위로 나누어서, 소·표준·대·특대형 사이즈 커프를 이용하여 자동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

건강관리 2023. 12. 7. 08:23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 마스모토 미스마사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 - 마스모토 미스마사 다양한 이야기 2023. 11. 3. 15:01 일본인 의사 '마스모토 미스마사'가 쓴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라는 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자 역시 다른 의사와 마찬가지로 고혈압은 위험함으로 혈압이 높은 사람은 혈압약을 먹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뇌경색 후유증으로 고생하고 있는 환자들 대부분이 혈압약을 복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의아한 마음에 연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혈압약이 오히려 뇌경색을 일으킨 것으로 결론을 내렸는데요 저자는 고혈압은 병이 아니기에 혈압을 무리하게 약으로 내리면 중병에 걸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혈압은 나이를 먹으면 자연스럽게 오르는데 이 또한 생명 유지를 위한 반응..

건강관리 2023. 11. 13. 13:44

커피 끊고 3개월... 잠다운 잠을 자기 시작했다

커피 끊고 3개월... 잠다운 잠을 자기 시작했다 한국인 매년 1인당 367잔의 커피 마셔, 세계 2위 만성 탈수 부르는 커피, 커피 끊으니 부기 빠지고 수면의 질 급상승 하주희 월간조선 기자 everhope@chosun.com 입력 2023.09.30. 08:30업데이트 2023.09.30. 11:59 81 베토벤, 고흐, 발자크 그리고 시인 이상에겐 공통점이 있다. ‘커피’. 이들은 모두 커피 애호가였다. 그중 최고는 작가 오노레 발자크다. 책을 집필할 땐 하루에 50잔도 마셨다. 자신만의 원두 배합법이 있을 정도였다. 그는 평생 96권의 책을 쓰고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카페인 중독과 과로가 사인으로 추정된다. ‘에스프레소’(왼쪽)와 핸드 드립. /조선DB 커피에 중독된 한국 커피에 중독된 나라..

건강관리 2023. 10. 1. 08:24

“여성 방광암 45% 담배 탓… 뇌졸중 30%는 술 때문”

“여성 방광암 45% 담배 탓… 뇌졸중 30%는 술 때문” 이지운 기자 , 김소영 기자 입력 2023-09-19 03:00업데이트 2023-09-19 07:15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건보硏, 담배-술 위험도 분석 “확인된 질병 최소 45-37가지 흡연-음주 사회경제비용 26조”음주와 흡연이 몸에 해롭다는 건 누구나 안다. 하지만 각종 질환의 발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수치로 알기는 어려웠다. 18일 동아일보가 입수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내부 보고서는 이를 규명하고 있다. 건강보험연구원의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손실 추정 및 정책우선순위 기초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담배와 술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 질병은 각각 최소 45가지, 37가지다...

건강관리 2023. 9. 19. 10:24

당뇨 ‘이러면 낫는다’...혈당과 비만 두마리 토끼 모두 잡은 현대판 만병통치약의 등장

당뇨 ‘이러면 낫는다’...혈당과 비만 두마리 토끼 모두 잡은 현대판 만병통치약의 등장 안상현 기자 입력 2023.09.17. 06:00 5 '이러면 낫는다'에 출연한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당뇨와 비만의 관계는 밀접하다. 비만으로 체내 대사 균형이 무너지면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저하되며 당뇨병이 발생하기 쉽다. 위절제술이나 위우회술 등 비만대사수술을 받은 환자가 혈당이 안정되며 앓던 당뇨병까지 낫는 경우가 이런 관계성을 보여준다. 그런데 요즘에는 수술을 받지 않아도 혈당과 비만을 동시에 잡아주는 치료제가 등장해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주사제 약물인 ‘오젬픽’과 ‘위고비’가 대표적이다. 국내 당뇨병 치료의 권위자인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

건강관리 2023. 9. 17. 08:16

건강 위해 먹은 ‘이것’…부정맥 위험 높일 수도

건강 위해 먹은 ‘이것’…부정맥 위험 높일 수도 분당서울대병원·고대안암병원·경희대 공동 연구 게티이미지뱅크 ‘오메가3’로 잘 알려진 ‘장쇄오메가-3불포화지방산’이 부정맥의 일종인 심방세동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고대안암병원·경희대 공동 연구팀은 오메가3의 주요 성분인 EPA(에이코사펜타노익산)와 DHA(도코사헥사노익산)를 투여해 진행한 연구 17건을 분석했다. 500명 이상이 피실험자로 참여하고 최소 1년 이상을 추적 관찰한 연구를 종합해 결과를 도출했다. 그 결과, 오메가3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14%, 심근경색은 16% 감소했다. 다만 투여량에 따라 심방세동의 발병 위험도 함께 증가했다. 심방세동은 심장에 혈액을 받아들이고 심실로 이..

건강관리 2023. 6. 27. 18:12

한 달 2㎏ 설탕이 몸에서 빠진다?... 요즘 뜨는 당뇨 치료제

한 달 2㎏ 설탕이 몸에서 빠진다?... 요즘 뜨는 당뇨 치료제 혈액서 포도당 빼내 소변으로 배출 국내 제약사 복제약만 100개 넘어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입력 2023.06.22. 03:00업데이트 2023.06.22. 08:55 1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그래픽=양인성 국내 당뇨병 환자는 최근 급속히 늘면서 526만명이나 됐다(2020년 조사 기준). 당뇨병 진단 기준인 공복 혈당 126(mg/dl)을 넘거나, 혈당관리 지표 당화혈색소가 6.5%를 넘거나, 현재 당뇨병 약제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을 집계한 결과다. 이제 고혈당은 한국인 건강 최대 이슈다. 이 상황에서 당뇨병 치료제 3가지가 혈당 관리에 맹활약하고 있다. 메트포민은 맏형으로서 포도당 생산을 억제하여 혈당을 떨어뜨리는 약물로 20세기 중반부..

건강관리 2023. 6. 22. 13: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7
다음
TISTORY
Hurricane room stor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